[Java] 오버로딩(overloading) 오버로딩이란? - 오버로딩(overloading)의 사전적 의미는 '과적하다'. 즉, 많이 싣는 것을 뜻한다. - 메서드도 변수와 마찬가지로 같은 클래스 내에서 서로 구별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각기 다른 이름을 가져아 한다. - 자바에서는 한 클래스 내에 이미 사용하려는 이름과 같은 이름을 가진 메서드가 있더라도 매개변수의 개수 또는 타입이 다르면, 같은 이름을 사용해서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다. - 한 클래스 내에 같은 이름의 메서드를 여러 개 정의하는 것을 '메서드 오버로딩(method overloading)' 또는 간단히 '오버로딩(overloading)'이라고 한다. - 보통 하나의 메서드 이름에 하나의 기능만을 구현해야하는데, 하나의 메서드 이름으로 여러 기능을 구현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 [SpringBoot] Test(2) MockMvc를 이용해서 테스트하기(@WebMvcTest, @AutoConfigureMockMvc) Mock - Mock이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테스트를 위해 만든 모형'을 의미한다. - 테스트를 위해 실제 객체와 비슷한 모의 객체를 만드는 것을 모킹(Mocking)이라고 하며, 모킹한 객체를 메모리에서 얻어내는 과정을 목업(Mock-up)이라고 한다. - 객체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테스트 대상 객체가 메모리에 있어야 한다.하지만 생성하는 데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거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객체는 자주 테스트하기 어렵다.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컨트롤러처럼 WAS나 다른 소프트웨어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한 객체도 있을 수 있다. 이런 복잡한 객체는 당연히 테스트 과정도 복잡하고 어려울 수 밖에 없다. - 따라서 테스트 하려는 실제 객체와 비슷한 가짜 객체를 만들어서 테스트에 필요한 기능만 .. [SpringBoot] Test(1) 스프링 부트에서 테스트하기(@SpringBootTest) - 개발자들은 누구나 자신이 작성한 코드에 문제가 없음을 검증하기 위해 어떤 방법으로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 - 작성된 테스트 코드는 유지보수 과정에서 재사용되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장치가 된다. -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는 JUnit을 기반으로 일관성 있는 단위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단위 테스트란 자신이 작성한 클래스에 대한 테스트로써 테스트 단계 중에서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다. - 단위 테스트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테스트할 객체가 최대한 단순해야 하지만 웹 애플리케이션은 테스트 대상 객체가 특정 서버와 관련되어 있거나 다른 객체들과 연관되어 관계가 복잡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 예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개발자가 만든 컨트롤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서블.. [SQLD] SQL 활용 - Table Partition 1️⃣ Partition 기능 ∙ 파티션은 대용량의 테이블을 여러 개의 데이터 파일에 분리해서 저장한다. ∙ 테이블의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 파일에 저장되면 입력, 수정, 삭제, 조회 성능이 향상된다. ∙ 파티션은 각각의 파티션 별로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즉, 파티션 별로 백업하고 복구가 가능하며 파티션 전용 인덱스 생성도 가능하다. ∙ 파티션은 Oracle DB의 논리적 관리 단위인 테이블 스페이스 간에 이동이 가능하다. ∙ 데이터를 조회할 때 데이터의 범위를 줄여서 성능을 향상시킨다. 2️⃣ Range Partition ∙ Range Partition은 테이블의 칼럼 중에서 값의 범위를 기준으로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하는 것이다. 3️⃣ List Partition.. [Java] 생성자(Constructor) 생성자란? - 생성자는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 호출되는 '인스턴스 초기화 메서드'이다. 따라서 인스턴스 변수의 초기화 작업에 주로 사용되며, 인스턴스 생성 시에 실행되어야 할 작업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 인스턴스 초기화란, 인스턴스 변수들을 초기화하는 것을 뜻한다. - 생성자 역시 메서드처럼 클래스 내에 선언되며, 구조도 메서드와 유사하지만 리턴값이 없다는 점이 다르다. - 그렇다고해서 생성자 앞에 리턴값이 없음을 뜻하는 키워드 void를 사용하지는 않고, 단지 아무것도 적지 않는다. - 생성자의 조건 + 생성자도 메서드이기 때문에 리턴값이 없다는 의미의 void를 붙여야 하지만, 모든 생성자가 리턴값이 없으므로 void를 생략을 할 수 있게 하였다. - 연산자 new 가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이지 생성..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