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클래스(Class)와 객체(Object) 정의와 용도 클래스(Class) - 클래스(Class)는 '객체(Object)를 정의해놓은 것' 또는 '객체의 설계도 또는 틀'. -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된 대로 생성된다. 클래스의 정의 : 클래스란 객체를 정의해 놓은 것이다. 클래스의 용도 :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객체(Object) - 객체의 사전적인 정의는 '실제로 존재하는 것' - 우리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사물들이 곧 객체. - 객체지향이론에서는 사물과 같은 유형적인 것뿐만 아니라, 개념이나 논리와 같은 무형적인 것들도 객체로 간주한다. - 프로그래밍에서의 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된 내용대로 메모리에 생성된 것을 의미한다. 객체의 정의 : 실제로 존재하는 것. 사물 또는 개념. 객치의 용도 :.. [Servlet/JSP] Servlet 정리 서블릿이란? - 서블릿은 서버 쪽에서 실행되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바 클래스이다. - 서블릿은 자바로 작성되어 있으므로 자바의 일반적인 특징을 모두 가집니다. - 서블릿은 일반 자바 프로그램과 다르게 독자적으로 실행되지 못하고 Tomcat과 같은 JSP/Servlet 컨테이너에서 실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서블릿은 서버에서 실행되다가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을 하면 해당 기능을 수행한 후 웹 브라우저에 결과를 전송한다. - 서버에서 실행되므로 보안과 관련된 기능도 훨씬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요청하면 웹 서버는 그 요청을 Tomcat과 같은 WAS에 위임한다. - WAS는 각 요청에 해당하는 서블릿을 실행한다. 그리고 서블릿은 요청에.. [Servlet/JSP] Apache와 Apache Tomcat 그리고 WebServer, WAS 1) Apache (Apache Http Server Project) - Apache Http Server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그룹인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만드는 웹 서버 프로그램이다. - http 웹서버는 http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웹서버이고, Apache Http Server는 http 요청을 처리하는 웹서버이다. (클라이언트가 GET/POST/DELETE 등의 기능을 이용해 요청을 하면 이 프로그램이 결과를 응답하는 기능을 한다.) - 정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웹서버이다. (정적인 HTML이나 이미지를 제공하는 서버를 웹서버라고 한다.) - 대표적인 웹서버에는 Apache와 NGINX와 Windows 전용 웹서버인 IIS가 있다. 2) Tomcat - Tomcat이 Apache의 기능.. [Servlet/JSP] Web Application 정리 정의 -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이란 말 그대로 기존의 정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서블릿(Servlet, 자바로 만든 CGI 프로그램), JSP, 자바 클래스들을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CGI menu CGI란 무엇인가? 1. Web server와 Client 사이의 통신2 CGI 일반적으로 서버는 CGI 프로그램들이 있는 위치(일반적으로 `cgi-bin'디렉토리)를 정해놓고 있는데, 웹 사용자가 CGI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문서나 양식을 작성하여 서버에게 그 CGI 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을 요청하게 된다. 이 때 서버는 그 문서에 내장된 CGI 프로그램을 이미 설정된 디렉토리에서 실행하게 된다.CGI 프로그램 실행시.. [Spring] @RestController의 파라미터(@PathVariable, @RequestBody) - @RestController는 기존 @Controller에서 사용하던 일반적인 타입이나 사용자가 정의한 타입(클래스)을 사용한다. - 여기에 추가로 몇 가지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PathVariable : 일반 컨트롤러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REST 방식에서 자주 사용된다. URL 경로의 일부를 파라미터로 사용할 떄 이용 ∙@RequestBody : JSON 데이터를 원하는 타입의 객체로 변환해야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 @PathVariable - REST 방식에서는 URL 내에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으려고 노력한다. - 예전에는 '?' 뒤에 추가되는 쿼리 스트링(query string)이라는 형태로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전달되던 데이터들이 REST 방식에서의 경로의 일부로 차용되는.. 이전 1 ··· 5 6 7 8 9 10 11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