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Java의 정석 - 계획대로 읽고 실습하고 싶은 책들도 많지만, 혼자서 코딩을 하다보면 프레임워크와는 별개로 아주 기초적인 자바 코드의 원리도 모르고 밑빠진 독에 물을 붓고 있는 듯한 기분을 자주 느꼈다(특히 최근에 알고리즘 기초적인 문제를 풀 때). - 생각해보면 코딩을 시작한 이후 제대로 기본서를 처음부터 끝까지 본 적이 없다. '이것이 자바다' 책을 구입한 건 3년 전 일이지만, 당시에는 눈으로만 봤었고 이해할 수 없는 내용이 대부분이였다. - 제대로 다시 보고 싶은 파트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전체), 예외처리, java.lang 패키지, enum, annotation, 소켓 프로그래밍
[Java] JVM(Java Virtual Machine) - JVM은 'Java Virtual Machine'을 줄인 것으로 직역하면 '자바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기계'라고 할 수 있다. - 영어권에서는 컴퓨터를 머신(machine)이라고도 부르기 때문에 '머신'이라는 용어대신 '컴퓨터'를 사용해서 '자바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 컴퓨터'라고 할 수 있다. - Virtual Machine(가상 기계)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하드웨어를 뜻하는 넓은 의미의 용어이며, 컴퓨터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하드웨어들이 소프트웨어화되어 컴퓨터 속으로 들어오고 있는데, 마찬가지로 '가상 컴퓨터(virtual computer)'는 실제 컴퓨터(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컴퓨터라는 뜻으로 컴퓨터 속의 컴퓨터이다. - 자바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은 모두 이 가상 ..
[SpringBoot] Starter로 의존성 관리하기 - maven project에서는 pom.xml 파일을 통해 프로젝트에 필요한 의존성을 관리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프로젝트에 스프링과 JPA를 연동해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처리한다고 가정하면 hibernate-entitymanager.jar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클래스 패스에 추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pom.xml 파일에 하이버네이트 관련된 설정을 가장 먼저 추가해야 한다. - 하지만 문제는 프로젝트에 하이버네이트 관련 의존성만 추가했다고 해서 스프링과 JPA연동을 바로 처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스프링과 JPA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하이버네이트 말고도 spring-orm.jar나 spring-data-jpa.jar 같은 다른 라이버러리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그런데 어떤 라이브러리가 더 ..
구입예정 목록
[Linux] 권한 및 그룹 설정 #chgrp [옵션] 그룹명 파일명 - 리눅스 시스템의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에는 접근권한(permission)과 소유권(ownership)이 부여된다. - 명령어 'ls -l'은 파일 속성을 나타낸다. 속성값 의미 - rw-rw-r-- ∙ 파일 허가권(permission) ∙ 파일 유형(-)과 파일접근 권한(-rw-rw-r--)으로 구성 1 물리적 파일 연결 개수 homeshake 파일 소유자명(User Ownership hoemeshake 파일 소유 그룹명(Group OwnerShip) 53 파일 크기(바이트 단위) 2020-01-01 파일이 마지막으로 변경된 시간 TST 파일명 - 속성 필드 중 첫 번째 필드는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허가권(permission), 세 번째와 네 번째 필드는 파일이나 디렉..